Linux Server 3일차(DNS)

2022. 1. 21. 09:23Server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특정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IP주소로 변환해 준다.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라고 생각하면 쉽다.

 

windows에서 dns 정보 얻는 순서

cache - hosts - dns서버

https://aws.amazon.com/ko/route53/what-is-dns/

 

실습

Server : CentOS7

client : Windows 10

 

 

dns 관련 패키지 설치

named.conf설정하기

dns 서버이기 때문에 어느 클라이언트인지 전부 dns서버 이용가능하게 한다.

 

 

named.rfc1912.zones파일 설정하기

 

정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역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 여기서 11을 써주는 이유는 rfc파일에서 0.0.10까지 써주었기 때문에 마지막 주소를 기입해야 한다.

영역파일 권한 설정하기

권한을 644로 해주는 이유는 어느 사용자든 dns서버를 이용할때 파일을 읽을 수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dns서버 주소 설정

 

방화벽 설정

 

 

마지막으로 설정 테스트하기

리눅스의 DNS를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리눅스의 IP주소를 적는다.

 

위 처럼 nslookup으로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실습)  (0) 2022.06.19
CA(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기관  (0) 2022.06.13
CDN(Content Delivery Network)  (0) 2022.06.13
Linux Server 2일차(FTP)  (0) 2022.01.20
Linux Server 1일차(dhcp)  (0)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