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7)
-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브라우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이다. 처음에는, WWW 상의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한다. 현재에는, 이미지, 비디오, 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 전송 가능 HTTP의 특징 1. 요청 및 응답 메세지로 대응되는 구조 - 동작 형태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 2. 메세지 교환 형태의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HTTP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통신한다. (SMTP 전자메일 프로토콜과 유사) 3. 트랜잭션 중심의 비연결성 프로토콜 - 종단간 연결이 없음 -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 4. 수송계층 프로토콜 및 사용 포트 번호 - 수송계층 프로토콜 : TCP -..
2022.07.02 -
DHCP(실습)
DHCP 기본문제 DHCP 기본설정 윈도우10(vmnet1), 윈도우2019서버(vmnet2)로 설정한 뒤, 통신이 되도록 만들어라.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물리,논리 구성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정보들이 필요하다. 1. IP 주소 2. GATEWAY 3. 라우터경로 하지만 VMWARE의 host-only는 DHCP는 제공해주지만 host에게만 통신하기 위해 GATEWAY의 정보는 주지 않는다. 따라서 GATEWAY를 설정하는 방법과 Route경로를 직접 설정해주는 방법이 있다. 1.GATEWAY 설정해주기 위 사진들처럼 서브넷에 맞게 라우터 인터페이스에의 IP를 넣어준다. 이렇게 IP만 주게 되면 통신이 안될 수 있으니 방화벽도 함께 확인하자. 방화벽까지 확인..
2022.06.19 -
CA(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기관
CA 디지털서명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에 있어서 누구나가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Trusted Thrid Party)를 의미한다. 전자 서명 및 암호화를 위한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기관/서버 인증기관 주요 역할/기능 1. 디지털서명의 서명자의 신원을 확인 2. 서명자로부터 그의 공개키를 맡아 보관 3. 대외적으로 서명자와 그의 공개키의 귀속관계를 보장 4. 인증서 및 인증서폐기목록을 발행항 수 있다. 5. 1 이상의 등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인증기관에 대한 계층적 구성(Chain of Trust, 신뢰기관 사슬) 1. 정책승인기관(Policy Approving Authority, PAA) - PKI의 루트 CA 역할 2. 정책인증기관(Policy Certificat..
2022.06.13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DN의 목적 높은 사용성과 효율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함에 있다. CDN은 오늘날 인터넷에 존재하는 컨텐츠의 상당수를 서비스 하고 있는데 이에는 웹 요소(텍스트, 그래픽, 스크립트), 다운로드 가능한 요소(미디어 파일, 소프트웨어, 문서), 애플리케이션(전자상거래, 포털), 실시간 미디어, 주문형 스트리밍,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등이 있다. 미디어 회사나 전자상거래 업체와 같은 콘텐츠 제공자는 그들의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CDN 회사에 사..
2022.06.13 -
Linux Server 3일차(DNS)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특정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IP주소로 변환해 준다.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라고 생각하면 쉽다. windows에서 dns 정보 얻는 순서 cache - hosts - dns서버 실습 Server : CentOS7 client : Windows 10 dns 관련 패키지 설치 named.conf설정하기 dns 서버이기 때문에 어느 클라이언트인지 전부 dns서버 이용가능하게 한다. named.rfc1912.zones파일 설정하기 정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역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 여기서 11을 써..
2022.01.21 -
Linux Server 2일차(FTP)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 테이블의 응용 계층에 속하며,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지금도 인터넷에서 자주 사용된다. 최초의 FTP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은 운영 체제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기 이전에 개발된 명령 줄 프로그램이었으며, 대부분의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운영 체제에 현재도 기본 포함되어 있다. 그 뒤로 수많은 FTP 클라이언트 및 오토메이션 유틸리티들이 데스크톱, 서버, 모바일 장치, 하드웨어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FTP는 웹 페이지 편집기와 같은 생산성 응용 프로그램들에 통합되고 있다. 프로토콜 개요 ..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