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6. 15:02ㆍLinux
실습환경
Windows 10 Pro
Vmware 16.x. workstation
CentOS Linux release 7.9.2009
기본 명령어
1. ls : list (디렉토리의 내용 확인)
ls -a : 숨김파일까지 출력
ls -l : 속성정보 출력
ls -h : 파일크기 보기 쉽게 출력
ls -i : i-node 값 확인
ls -R : 하위 디렉토리 목록 나열
2. mkdir (디렉토리 생성)
mkdir a b c d : 연속 생성 가능
mkdir -p : 부모 Directory까지 생성
3. rmdir (디렉토리 삭제)
rmdir -p : 지정되 디렉토리 밑에 파일이 없다면 하위 디렉터리까지 삭제
※디렉토리 하위에 파일이 있을경우 삭제가 되지 않는다.
4. 파일생성
touch : 크기가 0인 파일 만들기
cat : 출력방향 바꿔서 파일 만들기 가능
cat > b.txt -> 내용 입력하고 -> Ctrl+d하면 완료
vi :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파일 만들고 바로 편집기 사용
5. rm (File 삭제)
rm -r : 디렉토리와 하위 내용 삭제
rm -f : 강제 삭제
6. cd (디렉토리 이동)
cd .. : 바로 위 디렉토리
cd ~ : 사용자 홈 디렉토리
cd - : 바로 이전
cd / : root 디렉토리
/1/a.txt -> 절대경로(불변한다)
1/aa.txt -> 상대경로(그때그때 다르다)
7. pwd(현제 작업 디렉토리 알려주기)
8. cp(파일 복사)
cp -a : 파일의 모든 정보를 복사한다.
cp -r : Directory복사
9.mv(파일, 디렉토리 이동)
보통 파일의 이름을 바꿀때 많이 쓴다.
mv a.txt b.txt -> a.txt가 없어지고 b.txt로 바뀐다
10. ln(파일 링크)
ln : 하드링크 (파일만 가능)
ln -s : 소프트링크 (파일, 디렉토리 가능)
※ 파일시스템이 다르거나 다른 파티션이면 하드링크는 사용불가
하드링크 보완을 위해 소프트링크가 나옴
※ 절대 경로란 전체 경로를 써주어 명확하게 나타낸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길어질 수 있으므로 상대 경로로 많이 사용한다.
※ 상대 경로란 지금 위치 혹은 작업하려는 위치를 토대로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을 뜻 한다.
11. tar(파일 압축 및 해제)
archive : 다수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는 것.
예전 테이프 드라이브 시절 백업용으로 사용한다.
-f : 대상 tar 아카이브지정(기본옵션)
-c : tar 아카이브 생성, 기존 아카이브 덮어쓰기(파일 묶을 때 사용)
-x :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파일 풀 때 사용)
-v : 처리되는 과정(파일 정보)을 자세하게 나열
-z : gzip압축 적용 옵션
-j : bzip2압축 적용 옵션
-t : tar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
-C : 대상 디렉토리 경로 지정
-A : 지정된 파일을 tar 아카이브에 추가
-d : tar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 간 차이점 검색
-r : tar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u : tar아카이브의 변경된 파일들만 추가
-k : tar아카이브 추출 시, 기존파일 유지
-U : tar아카이브 추출 전, 기존파일 삭제
-w : 모든 진행 과정에 대해 확인 요청(interactive)
-e : 첫 번째 에러 발생 시 중지
gzip
gzip * : 파일 압축.gz
gzip -숫자 : 압축률 지정하기(숫자가 클수록 압축률이 좋다.)
gunzip = gzip -d 파일 압축풀기
bzip2
bzip2 * : 파일 압축.bz2
bzip2 -숫자 : 압축률 지정하기(숫자가 클수록 압축률이 좋다.)
xz
xz * : 파일 압축.xz
xz -숫자 : 압축률 지정하기(숫자가 클수록 압축률이 좋다.)
unxz = xz -d : 압축 풀기
※ tar와 같이 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tar에서 같이 명령어를 실행 할 수 있다.
tar cvfz : gzip
tar xvfz : gzip
tar cvfj : bzip2
tar xvfj : bzip2
tar cvfJ : xz
tar xvfJ : x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