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
-
GateWay(게이트웨이)
Gateway(게이트웨이)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을 달리하는 두개의 네트워크(망) 또는 두 망의 통신계층 상호간에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관문을 말한다. 즉, 2개 이상의 이질적인 망을 연결시키는 개체(Entity)를 가리키는 매우 일반적인 용어이다. 게이트웨이는 LAN(근거리통신망)에서 많이 쓰이는 Ethernet망과 IBM사의 SNA망 간을 연결해주는 연동 장비로써 말할 수 있으며, TCP/IP에서 볼 때는 망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3 Layer상의 라우터를 의미하기도 하나, 주로 상위 계층에서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의 특수한 변환을 담당하는 복잡한 S/W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ex) 전자우편을 여러 양식으로 바꿔주는 Mail gateway, VoIP에서 SIP 망 및 PST..
2022.07.03 -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브라우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이다. 처음에는, WWW 상의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한다. 현재에는, 이미지, 비디오, 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 전송 가능 HTTP의 특징 1. 요청 및 응답 메세지로 대응되는 구조 - 동작 형태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 2. 메세지 교환 형태의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HTTP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통신한다. (SMTP 전자메일 프로토콜과 유사) 3. 트랜잭션 중심의 비연결성 프로토콜 - 종단간 연결이 없음 -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 4. 수송계층 프로토콜 및 사용 포트 번호 - 수송계층 프로토콜 : TCP -..
2022.07.02 -
OSI 7Layer(7계층) 4~7계층
5. Session(세션) 계층 세션 계층은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한다. 이 계층은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 교환 메세지 스트림 내에서 동기화 지점을 제공한다. 세션계층은 세션 연결의 설정과 해제, 세션 메세지 전송 등의 기능을 한다. 세션 계층의 중요한 기능에는 동기화가 있다. 동기란 통신 양단에서 서로 동의하는 논리적인 공통처리 지점으로써, 동기점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기점이 설정된다는 의미는 그 이전까지의 통신은 서로 완벽하게 처리했다는 것을 뜻한다...
2022.06.28 -
OSI 7Layer(7계층) 1~4계층
OSI 7Layer(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목적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 혹은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르키는데, 프로토콜 스택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들은 하드웨어로 상위 계층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1. Physical(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어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기술들로 구성된다. 네트워..
2022.06.28 -
DHCP(실습)
DHCP 기본문제 DHCP 기본설정 윈도우10(vmnet1), 윈도우2019서버(vmnet2)로 설정한 뒤, 통신이 되도록 만들어라.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물리,논리 구성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정보들이 필요하다. 1. IP 주소 2. GATEWAY 3. 라우터경로 하지만 VMWARE의 host-only는 DHCP는 제공해주지만 host에게만 통신하기 위해 GATEWAY의 정보는 주지 않는다. 따라서 GATEWAY를 설정하는 방법과 Route경로를 직접 설정해주는 방법이 있다. 1.GATEWAY 설정해주기 위 사진들처럼 서브넷에 맞게 라우터 인터페이스에의 IP를 넣어준다. 이렇게 IP만 주게 되면 통신이 안될 수 있으니 방화벽도 함께 확인하자. 방화벽까지 확인..
2022.06.19 -
NAT
NAT 1개의 실제 공인 IP 주소에, 다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및 매핑하는 1:1 또는 1:다수 주소 변환 방식 ※NAT와 DHCP 비교 NAT : 사설 IP 주소 공간을 별도로 정하고 IP 주소 변환에 중점을 둔다. DHCP : 기확보된 공인 IP 주소 Pool를 집단 공유하며, 사용 후 반납 NAT의 사용 이유 및 유의점 1. IPv4의 IPv4 주소 고갈 및 라우팅 테이블의 대형화(Routing Scalability)에 대한 해소책 2. 공인 IP 주소의 효율적 공유 및 절약 - 공인 IP 주소 사용시 ISP사를 바꿀 때 마다, 모든 컴퓨터 주소를 바꿔야하는 등의 단점 해소 3. 주소 변환을 통해 내부 사설망 보안 및 Load Balancing 등도 가능 - 통상, 방화벽 등과 결합되어..
2022.06.16 -
CA(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기관
CA 디지털서명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에 있어서 누구나가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Trusted Thrid Party)를 의미한다. 전자 서명 및 암호화를 위한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기관/서버 인증기관 주요 역할/기능 1. 디지털서명의 서명자의 신원을 확인 2. 서명자로부터 그의 공개키를 맡아 보관 3. 대외적으로 서명자와 그의 공개키의 귀속관계를 보장 4. 인증서 및 인증서폐기목록을 발행항 수 있다. 5. 1 이상의 등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인증기관에 대한 계층적 구성(Chain of Trust, 신뢰기관 사슬) 1. 정책승인기관(Policy Approving Authority, PAA) - PKI의 루트 CA 역할 2. 정책인증기관(Policy Certificat..
2022.06.13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DN의 목적 높은 사용성과 효율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함에 있다. CDN은 오늘날 인터넷에 존재하는 컨텐츠의 상당수를 서비스 하고 있는데 이에는 웹 요소(텍스트, 그래픽, 스크립트), 다운로드 가능한 요소(미디어 파일, 소프트웨어, 문서), 애플리케이션(전자상거래, 포털), 실시간 미디어, 주문형 스트리밍,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등이 있다. 미디어 회사나 전자상거래 업체와 같은 콘텐츠 제공자는 그들의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CDN 회사에 사..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