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
-
Linux 7일차
SSH(secure Shell Protocol)이란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SSH를 동작하기 위해서는 비대칭키 방식과 대칭키 방식이 있다. 간단히 말해서 대칭키는 암호화하는 키와 복호화하는 키가 똑같은 것이고, 비대칭키는 암호화하는 키와 복호화하는 키가 다른것이다. 이를 통해 원격접속에 관한 접근은 SSH가 일반화가 되었습니다. Windows10 이후부터는 Openssh가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Windows에서 ssh key를 생성하여 이 키를 가지고 리눅스 서버에 접속해보겠습니다. 실습 1. 윈도우 PC에서 키 생성을 해준다. 2. 키를 확인한다. 3..
2022.02.09 -
NTFS (New Technology File System) 2일차(MFT)
MFT(Master File Table) 볼륨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가진 테이블이다. NTFS의 가장 중요한 구조체이고 Windows에서 NTFS로 포맷할 경우 Windows는 MFT의 초기 크기를 작게 설정하며 파일이 많아짐에 따라 Windows는 점점 MFT의 크기를 늘려간다.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많아질수록 MFT의 크기는 점점 커지지만 한번 늘어난 MFT는 파일이 줄어든다고 해서 줄어들진 않는다. MFT에서는 0번부터 15번까지 들어가는 16개의 파일이 있는데 이는 파일시스템 관리 데이터를 담고 있는 시스템 파일들로, 일반 파일들과 구별하기 위해 메타 데이터 파일(meta data file)이라고 부른다. 파일의 이름은 다른 일반 파일들과 구별하기 위해서 이름앞에 "$"문자..
2022.02.03 -
Linux Server 3일차(DNS)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특정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IP주소로 변환해 준다.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라고 생각하면 쉽다. windows에서 dns 정보 얻는 순서 cache - hosts - dns서버 실습 Server : CentOS7 client : Windows 10 dns 관련 패키지 설치 named.conf설정하기 dns 서버이기 때문에 어느 클라이언트인지 전부 dns서버 이용가능하게 한다. named.rfc1912.zones파일 설정하기 정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역방향 영역파일 설정하기 ! 여기서 11을 써..
2022.01.21 -
NTFS (New Technology File System) 1일차(VBR)
NTFS란 FAT32 의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파일. 폴더별 독집적 권한부여, 로그기록 유지, 다른 운영체제로 부팅하여 보안기능 우회불가등 보안향상이 되었고, 데이터 손실률이 낮아 튼튼한 시스템을 위해 등장했다. 향상된 파일 이름도 지원하여 대소문자, Unicode도 파일이름에 사용할 수 있다. 1. VBR(Volime Boot Record) 1.1 BR(Boot Sector) NTFS구조에서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FAT 예약된 영역과 유사하게 부트 섹터와 추가적인 부트 코드가 저장된다. 고정된 크기를 가지지 않고 클러스터 크기에 의존한다. Cluster Size VBR Size 512 Bytes 1 1KB 2 2KB 4 4KB 8 1...
2022.01.20 -
Linux Server 2일차(FTP)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 테이블의 응용 계층에 속하며,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지금도 인터넷에서 자주 사용된다. 최초의 FTP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은 운영 체제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기 이전에 개발된 명령 줄 프로그램이었으며, 대부분의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운영 체제에 현재도 기본 포함되어 있다. 그 뒤로 수많은 FTP 클라이언트 및 오토메이션 유틸리티들이 데스크톱, 서버, 모바일 장치, 하드웨어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FTP는 웹 페이지 편집기와 같은 생산성 응용 프로그램들에 통합되고 있다. 프로토콜 개요 ..
2022.01.20 -
Linux 6일차
1. 패키지관리 1.1.yum(yellowdog update manager), apt-(get)(Debian계열) : get생략한다. 1.1.1. 장점 1.1.1.1.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까지 같이 해결 1.1.2. 단점 1.1.2.1. customazing 불가(설치 위치나 lib 선택불가) 1.1.2.2. 최신 버전이 아닌 안정화된 버전 1.1.2.3. 반드시 인터넷과 DNS가 정상동작 해야함.(인터넷의 저장소) yum install : 다운로드 -y =다운로드 중간에 y/d/N에서 yes하겠다. -d = download만 -N =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 remove : 삭제 1.2.rpm(redhat계열) 1.2.1. binary file을 합쳐논 형태 1.2.2. 패키지 다운로드 후 설치(..
2022.01.17 -
Linux Server 1일차(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이다. IP 라우터는 인터페이스 및 호스트에 IP 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다. 과거에는 각 PC마다 고정 IP를 설정 해주었지만 그로 인해 오타로 인한 IP 설정 오류, 동일한 IP를 기입하여 IP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사용하지 않고 꺼 놓은 컴퓨터에도 모두 IP를 할당해주어 IP가 모자라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HCP가 개발이 되었다. ※DHCP 서버가 기능상 문제가 발생하여 IP는 제대로 할당 해주지 못했을 시 169.254.0.0/16 대역을 임시로 할당해준다. 이 기능을 WINDOWS에서 APIPA(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2022.01.17 -
Linux 5일차
1. 사용자 및 그룹별로 디스크 사용량 제한 1.1.quota(디스크 할당) 파일시스템간 혹은 유저 간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용량이나 파일 등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용량을 제한하지 않아서, 특정 사용자가 디스크에 남아 있는 용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은 서버의 경우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이 필요한데, 이러한 제한을 디스크 쿼터라고 부른다. 리눅스에서는 디스크 쿼터는 사용자 및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과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갯수(I-nodes의수)를 제한 할 수 있다. quota version 1. version 1 quota format used ip to kernel 2.2 : kernel 2.2버전까지 지원(usrquota, grpqu..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