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실습)

2022. 6. 19. 19:21Server

DHCP 기본문제

 

 

DHCP 기본설정

윈도우10(vmnet1), 윈도우2019서버(vmnet2)로 설정한 뒤, 통신이 되도록 만들어라.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윈도우10

윈도우2019서버

 

물리,논리 구성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정보들이 필요하다.

1. IP 주소

2. GATEWAY

3. 라우터경로

하지만 VMWARE host-only DHCP는 제공해주지만 host에게만 통신하기 위해 GATEWAY의 정보는 주지 않는다. 따라서 GATEWAY를 설정하는 방법과 Route경로를 직접 설정해주는 방법이 있다.

 

 

1.GATEWAY 설정해주기

위 사진들처럼 서브넷에 맞게 라우터 인터페이스에의 IP를 넣어준다.

 

이렇게 IP만 주게 되면 통신이 안될 수 있으니 방화벽도 함께 확인하자.

방화벽까지 확인하게 된다면 ping통신이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Route 경로를 직접 넣어주기

윈도우에서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키고

route 네트워크대역 mask 서브넷마스크 GATEWAY를 주게 되면 Route 경로가 생성되어 GATEWAY를 넣어주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DHCP Multiple example

1. DHCP SERVER에 위에 표시된 것처럼 DHCP Pool 2개 만들기

Pool name : subnet1
Range : 192.168.10.0 /24
Exclude : 192.168.10.251 ~ 254
Pool name : subnet2
Range : 10.10..10.0 /24
Exclude : 10.10.10.1 ~ 10

2. DHCP Client1에서 IP를 할당 받게 한다.

3. R1 Relay Agent로 설정

4. DHCP Client2에서 IP를 할당 받게 한다.

5. Client1Client2가 통신이 되는지 확인한다.

 

문제 0)

기본 설정



R1
conf t
int f0/0
ip add 192.168.10.253 255.255.255.0
no sh
router rip
ver 2
no au
net 192.168.10.0
 


R2
conf t
int f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
int f0/1
ip add 10.10.10.1 255.255.255.0
no sh
router rip
ver 2
no au
net 192.168.10.0
net 10.10.10.0

 

DHCP 서버에서 pool설정

R1
ip dhcp pool subnet1
net 192.168.10.0
defualt-router 192.168.10.254
exit
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0.251 192.168.10.254
 
ip dhcp pool subnet2
net 10.10..10.0
defualt-router 10.10.10.1
exit
ip dhcp excluded-address 10.10.10.1 10.10.10.10
 

R2에서 ip helper-address설정하기

R2
int f0/1
ip helper-address 192.168.10.253 //브로드캐스트로 동작하기 때문에 그 영역을 넓혀준다.

VPCS에서 DHCP할당 받아오기

Ping통신 확인하기

문제 1) 서버를 Windows2019로 하여라

초기 설정

DHCP Client 1 = windows 10(VMnet1)

DHCP Client 2 = windows 10(VMnet2)

DHCP Server = windows server 2019(VMnet3)

DHCP Client1은 내부 192.168.10.0/24를 받고 Client 2 10.10.10.0/24를 받게 하여라.

 

window2019 DHCP Server 설정

R1 설정

conf t
int f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
int f0/1
ip add 10.10.10.1 255.255.255.0
no sh
ip helper-address 192.168.10.253 //다른 대역대이기 때문에 써야한다





 

Client에서 DHCP 이용하기

문제 1) 서버를 CentOS 7으로 하여라

초기 설정

DHCP Client 1 = windows 10(VMnet1)

DHCP Client 2 = windows 10(VMnet2)

DHCP Server = CentOS7(VMnet3)

DHCP Client1은 내부 192.168.10.0/24를 받고 Client 2 10.10.10.0/24를 받게 하여라.

리눅스 설정

dhcp 서버를 하기 위해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한다.

패키지 설치 후 192.168.10.0/24 대역으로 서버 IP 주소를 맞춰준다. 이때 GATEWAY R1 F0/0을 써주면 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를 써서 ip 주소를 재설정 해준다.

 

cp /usr/share/doc/dhcp-4.2.5/dhcpd.conf.example /etc/dhcp/dhcpd.conf를 써서 샘플 파일을 복사해준다. 처음에는 dhcpd.conf 파일이 비어 있기 때문에 양식에 맞게 설정해준다.

dhcp 데몬을 실행 시키고 방화벽을 내려준다.

필자는 service를 써서 dhcp 포트를 내려줬고, 다른방법으로는 직접 --add-port를 쓰는 방법이있다.

 

Client PC에서 PING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간단한 패킷 캡처

VMnet1

VMnet2

VMnet3

 

VMnet3 Packet

Discover

Frame Layer

 

Ethernet, IP Layer

ip helper-address에 관련된 PACKET이기 때문에 DISCOVER이지만 Source ADD 10.10.10.1이 적혀 있다.

 

Transports Layer

UDP 67번을 사용한다. ip helper-address구간은 출발지 목적지 67번을 사용한다.

Application Layer

Discover 패킷이란 것을 알 수 있고, Unicast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목적지 수신자에게 Unicast로 응답을 달라는 부분이다. 또한 Client에 대한 정보들이 들어있다.

Offer

Frame Layer

Ethernet, IP Layer

Transports Layer

Application Layer

Your IP address Client가 쓸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보낸다.

IP임대시간, 서브넷마스크, 라우터IP, DNS Server IP를 확인 할 수 있다.

 

 

Request

Frame Layer

Ethernet, IP Layer

Transports Layer

Application Layer

Request 패킷과 Server, Client의 정보들이 나와있다.

 

Ack

Frame Layer

Ethernet, IP Layer

Transports Layer

Application Layer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0) 2022.07.02
CA(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기관  (0) 2022.06.13
CDN(Content Delivery Network)  (0) 2022.06.13
Linux Server 3일차(DNS)  (0) 2022.01.21
Linux Server 2일차(FTP)  (0) 2022.01.20